국가무형문화재-옥장(100호)


표지 이미지
카테고리
문화적 창조기술
발행처
국립문화재연구소
발행인
국립문화재연구소
최종수정
2020. 11. 10 오후 3:39
등록
admin(관리자)

요약

이 책은 기능 보유자의 장주원의 옥 공예기술을 종합적으로 조사정리하여 엮은 기록도서이다. 

이 책에는 옥의 유래, 옥장신구의 시대별 양식과 형태별 분류, 옥 제작과정, 옥장 전승현황 등의 내용이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관련이미지

내용

옥은 동양문화권에서 발달된 보석류로서 금·은과 함께 쓰여진 대표적인 보석이며, 음양오행의 다섯 가지 덕인 인(仁)·의(義)·지(智)·용(勇)·각(角)을 상징하는 장신구로 쓰여 왔다. 또한 방위신에 예(禮)를 베푸는 예기(禮器)를 비롯하여 사회계급의 신분을 구분하는 드리개와 악기인 옥경(玉磬), 약재 및 의료용구 등 여러 가지로 쓰여지고 있다.

청동기 유적에서 발견되고 있는 옥석공예품과 삼국시대의 여러 고분에서 출토된 곱은옥, 구슬옥, 대롱옥 및 신라의 세 가지 보물 가운데 하나였던 진평왕의 옥허리띠를 통해 옥이 상류층의 중요한 장신구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을 비롯하여 조선시대까지만 하더라도 왕족계열과 특수계층에 한하여 지닐 수 있었다. 옥공예품은 재료의 확보도 어렵고 귀한 공예품이라는 점에서 옥공예를 다루는 공인의 수를 국가에서 제한하여 그 수가 극히 적었다. 옥공예의 가공에 있어서도 동공예 제조기술과는 판이하게 달라 정으로 쪼아 다듬어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일일이 갈아 만든다. 채석 - 디자인 - 절단 - 성형 - 세부조각 - 광택의 과정을 거쳐 작품이 완성되는데 쇠톱, 활빙개(활비비), 갈이틀, 물레 등 여러가지 연장이 사용된다.

옥장은 전통공예기술의 장인으로 그 가치가 크며, 기능보유자인 장주원은 옥공예의 종주국으로 알려진 중국 옥기술과 작품성을 능가한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한 옥장은 고가의 원석을 다루기 때문에 정확한 예측이 필수적이며 정교한 조각기능 뿐 아니라 고도의 예술성이 요구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재료

옥: 연옥과 경옥이 있음.

2. 도구

절단공구: 켤톱(큰내릴톱), 연마제(탄화규소), 물 등

투각공구: 활빙개(활비비)

연마공구: 갈이틀, 물레 등

3. 제작과정

1) 채석하기

정을 이용해 옥덩이에 자국을 낸다. 여기에 소나무처럼 팽창과 수축이 심한 목재를 넣은 뒤 물을 붓는다. 물이 마르면 다시 붓는 작업을 여러번 반복한다. 그러면 커다란 옥덩이 전체에 균열이 생긴다. 이를 다시 정으로 쳐내어 원석을 채석한다.

2) 열처리하기

오랜 세월 지하에 묻혀 있던 원석을 햇볕에 내놓으면 자회선의 영향으로 균열이 가거나 조직세포 내에 변질이 생겨 강도가 약해진다. 따라서 채석한 원석은 열처리과정을 거쳐야 한다. 원석을 황토로 싼 다음 가마니로 덧띄워 굴 속에 저장한 뒤 차츰 밝고 온도가 높은 공간으로 옮긴다.

3) 디자인하기

옥석의 형태와 성질을 살핀다. 그리고 옥석의 형태나 크기, 균열과 색채에 따라 디자인 작업을 한다. 우선 가는 연필로 도안한 다음 먹송곳(끝이 뾰족한 조각도)으로 도안된 선을 다라 홈을 낸다. 도안을 따라 다시 한 번 먹송곳으로 그 위를 그리면 먹이 스며들고 그 위를 숫돌로 문지르면 가는 홈의 먹선만 남게 된다. 여기서 먹상감으로 도안선을 그리는 이유는 옥 연마가 항상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연필, 먹 등으로 도안을 하게 되면 지워지기 때문이다.

4) 절단하기

세 줄로 꼰 철사로 만들어진 톱을 사용해 옥을 절단한다. 톱의 양끝 기둥을 잡아당겨 철사를 팽팽하게 한 다음 자르려고 하는 곳에 연마제(탄화규소)와 물을 수시로 넣어주면서 톱을 밀고 당긴다. 마찰에 의해 옥이 절단된다.

5) 세부조각하기

구멍을 내기 위해서는 활빙개를 사용한다. 이것은 활처럼 생긴 도구로 활대를 앞뒤로 움직이면 송곳대가 돌면서 구멍을 낸다. 구멍을 뚫은 다음에는 무늬에 따라 명주실이나 철사를 이용하여 조각한다. 이 때 사용하는 명주실은 손물레에 연결시켜 사용하고 철사를 이용할 때는 활에 감아 사용한다. 그리고 옥면을 다듬을 때 발물레틀에 공이(연마 기구)를 부착하고 빠른 회전을 이용해 옥 표면을 갈아낸다.

6) 광택내기

옥 표면에 광택을 낸다. 명주천, 동물의 가죽, 박조각 등을 사용한다.

4. 용도

1) 남성 장신구: 옥로, 관자, 동곳, 단추, 허리띠장식 등

2) 여성 장신구: 비녀, 노리개 장식 등

3) 생활용품: 베갯모, 벼루 등

전통 장신구, 전통 석공예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