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무형문화재-악기장(42호)


현악기

2020. 11. 9 오후 1:04

1. 재료

1) 산조 가야금

(1) 목재: 오동나무, 밤나무, 벚나무, 소나무, 소나무, 화류나무

(2)기타 재료: 명주실, 아교, 식물성 오일

2) 거문고

(1) 목재: 오동나무, 밤나무, 박달나무, 흑단, 화류나무, 장미목, 대추나무, 가느다란 대나무

(2) 기타 재료- 명주실, 무명실, 대모, 산돼지 가죽, 아교, 식물성 기름

2. 도구

톱, 대패, 자귀, 실톱, 조각도, 인두, 칼, 가위, 사포 등

3. 제작과정

1) 산조 가야금

(1) 나무 준비

울림통 재료로 20년 이상 자란 재래종 오동나무와 밤나무를 선택하여 야외에서 1년이상 자연건조시킨다.

(2) 울림통 만들기

오동나무로 울림통 윗판을 만들고 밤나무로 뒷판을 만든다. 밑판에는 울림구멍을 뚫는다. 윗판과 밑판을 아교로 붙이고, 끈으로 맨다. 쐐기를 이용해 조여서 밀착시킨다. 완성된 울림통의 옆면과 각 부분을 다듬어 마무리 한다. 가야금 머리와 봉미를 붙인다.

(3) 인두질: 울림통이 완성되면 윗판을 인두질 한다.

(4) 변 붙이기

울림통에 변을 붙인다. 변은 아교로 붙이고 끈으로 묶어 고정시킨다.

(5) 세부 만들기

울림통이 완성되면 머리에 좌단장식을 한다. 나무로 가야금의 현을 받치는 현침을 1.5cm 정도 높이로 깎아 만든다. 이것을 울림통에 아교를 사용하여 붙인다. 가야금의 현을 거는 아래 부분을 봉미라고 한다. 나무를 깎아 만들고 부들을 넣는 12개의 구멍을 뚫는다. 울림통에 아교를 사용하여 붙인다. 밑판 아래 봉미 쪽에 가야금의 발을 만들어 붙인다. 가야금 머리에 현을 끼울 수 있는 구멍을 직각으로 뚫는다.

(6) 현꼬기

명주실을 꼬아서 가야금 현을 만든다. 현의 굵기는 음높이에 따라 다르다.

(7) 현 걸기: 울림통에 현을 걸 때에는 돌괘, 부들, 안족이 필요하다.

(8) 가야금이 완성된 후 안족을 옮겨가며 음을 맞춘다.

2) 거문고

(1) 목재 준비

25년 이상 된 오동나무 중 지름이 30cm 이상 된 나무를 고른다. 목재를 장기간 밖에서 자연건조 한다.

(2) 울림통 만들기

오동나무로 울림통의 윗판을 만들고 밑판은 밤나무 등 단단한 나무로 만든다. 밑판에는 소리가 빠져나오는 구멍을 뚫는다.

(3) 울림통 붙이기

완성된 윗판과 밑판은 아교를 이용해 붙인다. 고정이 잘 되게 끈으로 묶어둔다. 여름철에는 다섯 시간 이상, 겨울철에는 열두시간 이상 말린다.

(4) 세부 만들기

거문고의 머리 부분인 좌단에는 소뼈와 흑단 등으로 문양을 만들어 붙인다. 좌단 끝에는 나무를 조각하여 만든 용두 장식을 붙인다. 줄을 거는 부분인 봉미를 만들고 현을 거는 구멍을 뚫는다. 이것을 아교를 이용해 울림통에 붙인다. 현을 받치는 받침대인 현침은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 아교로 붙인다. 운족은 울림통을 바닥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박달나무 등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 봉미 아래쪽에 아교로 붙인다. 안족은 개방현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단단한 나무로 만들어 아교로 붙인다. 몸통 가장자리에 두를 변을 만들어 붙인다.

(5) 울림통을 술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울림통 위에 대모(거북이 등껍질)를 붙인다. 요즘은 보통 산돼지 가죽을 쓰며 아교로 붙인다.

(6) 인두질하기

울림통 윗판을 인두질한다. 그리고 식물성 기름으로 광을 낸다.

(7) 괘 붙이기

대추나무로 16개의 괘를 만들어 낮은 것부터 높은 것 순으로 붙인다.

(8) 현만들기

악기의 현은 명주실을 물에 적셔서 만들어 수증기로 쪄낸다.

(9) 현걸기

현을 돌괘와 부들을 이용해 울림통에 고정시킨다. 부들은 무명실로 만든다.

(10) 술대 만들기

술대는 가느다란 대나무를 이용해 만든다.

4. 용도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