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마을 공동체문화의 가치와 활용


전통유물 활용 문화콘텐츠 개발 단계와 방법

2020. 10. 6 오후 5:16

전통유물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은 3단계의 과정으로 정리할 수 있다. 1단계는 전통유물 자료수집 및 정리, 2단계는 마을을 대표하는 전통유물 선발 및 심층조사, 3단계는 문화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한 방법론은 민속자원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개발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것처럼 도식화할 수 있다.

1단계는 전통유물 자료수집 및 정리의 과정으로 기록물 조사, 유물실측 및 면담조사, 현장참여관찰조사 등 3개의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기록물은 고문헌, 향토문헌, 신문잡지, 인터넷 등을 꼼꼼하게 조사해야 한다. 다음으로 유물실측과 함께 마을주민, 지역전문가 등에 대한 면담조사를 수행해야 하는데 전통유물 관련 지식정보는 대부분 구전되기 때문에 면담조사가 일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면담조사는 제보자에 따라 질적 차이가 많으므로 마을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을 제보자로 선택해야 하고 면담조사 전에는 면담지를 작성해야 한다. 현장참여관찰조사는 행사나 의례 등에 참여하여 관찰하는 것을 말하는데 특히 전통유물과 관련된 지식정보는 콘텍스트가 중요하기 때문에 현장참여관찰조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2단계는 마을을 대표하는 전통유물 선정 및 심층조사 과정으로 자료검토, 유망자원 선정, 심층조사로 이루어진다. 자료검토는 마을주민, 지역전문가 등을 통해 자원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다. 유망자원 선정은 마을 이장이나 지역의 전문가를 활용하여 콘텐츠 개발에 활용할 자원을 선정하는 것으로 이 과정에서는 농촌관광, 체험마을, 마을축제 등 마을사업과의 연계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심층조사는 유망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말하는데, 현장상황을 생생하게 관찰하는 참여관찰조사가 필수적이며 민속학, 인류학 등 해당 전공자의 도움이 필요하고 카메라, 캠코더, 녹음기 등 디지털 조사장비를 사용하여 꼼꼼하게 조사하고, 조사 후에는 수집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조사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3단계는 문화콘텐츠 개발 및 현장 적용으로 전통유물 문화콘텐츠가 현실화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그 마을만의 전통성, 고유성, 역사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신경을 써야 하는데 어느 마을에서나 만날 수 있는 평범한 콘텐츠로는 방문객을 유인할 수 없고 이목을 집중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 지역의 전통과 문화, 종교,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오랫동안 전승·발전되어 온 독특하고 토속적인 소재를 발굴하여 가치를 불어넣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통유물과 관련한 이야기 자원들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면 방문객들에게 쉽고 재미있고 유익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