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마을 공동체문화의 가치와 활용


마을공동체 전통유물 자료수집

2020. 10. 6 오후 5:19

마을공동체 전통유물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자면, 누대를 거쳐 마을을 형성하고 유지해온 구성원들이 결속력 강화, 생산력 증대, 복리증진, 상호부조 등을 위해 다양한 제도와 문화를 발전시켜오면서 후세에 남겨놓은 문화적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통유물의 종류는 헤아리기 어려울 만큼 많겠지만 대체로 생업·생활, 신앙·의례, 놀이·여가로 그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마을공동체 전통유물 유형 분류

유형 마을공동체 전통유물
생업·생활 공동농기구, 수리시설(저수지, 보 , 연못, 무넘기, 제방) , 공동작업장, 공동농작업도구, 우물(샘), 빨래터, 방앗간(연자방아, 물레방아), 나룻배, 섶다리, 길쌈도구 등
신앙·의례 장승(벅수), 솟대(짐대, 돛대, 진또배기), 돌탑(조탑, 탑), 조산, 돌미륵, 마을숲, 입석(선돌, 남근석), 신목(서낭, 당산, 목신), 당집(제당, 서낭당), 제단, 제기, 농악기(꽹과리, 징, 북, 장구, 소고, 태평소, 나발), 농기(농신기, 서낭기), 상여, 가마, 의례복식, 문서 등
놀이·여가 들돌, 고(고싸움), 줄(줄다리기), 동채(차전놀이), 탈, 그네, 널뛰기, 윷, 투호, 장기, 바둑, 고누, 골패, 연, 팽이, 제기, 모정(정자), 노거수(정자목) 등

 

이 연구에서는 자료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해내는 질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풍부한 자료를 수집하여 어떤 현상에 내재되어 있는 본질적인 의미와 원리를 규명하고, 현장의 상황에 따른 맥락을 파악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삼굿마을 전통유물 자료수집에 앞서 조사단계를 사전문헌조사, 현지자료조사, 심층면담조사, 현장참여관찰로 나눠 조사내용을 정리하였다.

단계 수집방법 조사내용
1단계 사전문헌조사 시군지, 면지, 마을지, 인터넷자료 등
2단계 현지자료조사 마을 소장 문헌(계안, 축문, 일지, 일기 등), 유물(사진촬영, 유물실측 등), 유물 관련 행사(동제, 세시의례, 관혼상제, 전통놀이 등)
3단계 심층면담조사 반구조식면담(질문지와 대화방식 겸함, 즉석메모, 녹음)
4단계 현장참여관찰 관찰 위주의 참여(선택적 관찰), 유물 관련 행사(관찰일지, 사진, 녹음, 동영상 등)

 

이와 함께 마을공동체 전통유물의 특성에 맞는 조사항목을 설정하였는데, 조사자의 시간적 제약을 고려하여 현지자료조사와 심층면담조사를 통해 얻어낼 수 있는 질적 자료를 중심으로 유물의 명칭, 규모, 유래와 기능, 보존과 관리, 활용 현황 등으로 구성하였다. 면담조사 과정에서 전통유물과 관련된 중요한 질문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질문지를 개발하여 조사에 활용하였는데, 면담은 풍부한 질적 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질문과 대화를 결합한 반구조식 면담조사로 진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