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향토음식; 2-서울·경기도


쑥구이단자

2019. 11. 21 오전 12:00

식품유형

떡류 > 떡류 > >

조리법분류

가열하여 익히는 음식 > 물을 이용한 음식 > 수증기로 찌는 음식

식재료

찹쌀가루 300g(3컵), 쑥 데친 것 200g, 물 적량, 소금 약간 <고물> 거피팥 160g(3/4컵) <소> 팥고물 180g(1컵), 꿀 2큰술, 계피가루 1/3작은술, 소금 약간 / 고물, 거피팥 160g(3/4컵) 소, 팥고물 180g(1컵), 꿀 2큰술, 계피가루 1/3작은술, 소금 약간

조리방법

1. 찹쌀가루를 소금을 넣어 체에 내린다. 2. 쑥은 손질하여 깨끗이 씻은 후 파랗게 데쳐서 절구에 찧는다. 3. 찹쌀가루에 물을 내려 쪄 낸 후 쑥과 같이 절구에 넣어 곱게 친다. 4. 거피팥은 푹 무르게 쪄서 절구에 찧은 후 꿀과 계피가루를 넣어 되직하게 소를 만든다. 5. 3의 친 찹쌀을 떡판에 쏟고 길게 펴서 가운데 팥소를 넣고 떡을 오므려 손끝으로 새알 모양으로 잘라서 꿀을 발라 팥고물을 묻힌다.

정보제공자

오숙희,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가좌리<br>

참고사항

쑥구리단자는 봄철 들녘에 가장 흔한 나물인 쑥을 이용한 전통 떡으로 ‘단자’라는 말은 찹쌀로 만든 떡에 팥소를 넣고 꿀물을 발라 고물을 입힌 우리 전통의 떡을 일컫는다. 떡은 그 어원을 중국의 한자에서 찾을 수 있는데, 한대(韓代)이전에는 떡을 ''이(餌)''라 표기하였다. 그 당시에는 중국에 밀가루가 보급되기 전이므로 떡을 쌀이나 콩, 기장 등으로 만들었다. 기록에 의하면 밀가루가 보급된 한대 이후에는 떡을 가리키는 표기가 ''병(餠)''으로 바뀌고 있으며 떡을 나타내는 한자는 쌀을 위주로 해서 만들었을 경우 조리법에 따라 ''이(餌)''나 ''자(咨)''로 표기했고, 밀가루로 만들었을 경우 ''병(餠)''이라 표기했다. 그러므로 우리의 떡은 쌀을 위주로 하여 만들고 있으므로 ''이(餌)''나 ''자(咨)''에 해당한다. 최근에는 재료에 따른 명칭의 구별 없이 ‘병’으로 통용되어 쓰고 있다.

출전정보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한국민속종합조사보고서(향토음식편), 1984<br>전희정·이효지·한영실, 한국전통음식, 문화관광부, 2000<br>

지역

AI002000 > > 4146135033